저번 글에 이어서 이번엔 라인업에 대해 예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적으로 한국지엠이 호주 홀덴의 전철을 밟는다는 전제하에 예상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2016년 현제 홀덴의 라인업을 보자면, 아시아 쉐보레 라인업과 유럽 오펠의 라인업이 혼합된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홀덴은 앞으로도 이러한 전략을 이어나갈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일단 홀덴은 바리나 스파크를 스파크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중형은 말리부를 단종, 내년에 생산이 중단되는 홀덴 코모도어(쉐보레 SS)와 함께 차세대 오펠 인시그니아로 대체하기로 했습니다. 준중형은 저가는 크루즈 고성능은 아스트라로 현행을 유지하기로 하였습니다. 향후 호주공장의 패쇄로, 대형라인업은 임팔라 후속이나 자리가 빌 것으로 보여집니다.

SUV와 픽업라인업을 보면, 호주인들은 90년대 처럼 오펠라인업의 도입을 바라지만, 향후 쉐보레 라인업을 그대로 따라갈 것으로 보이며, 프레임 바디의 콜로라도9/콜로라도 픽업은 SUV형의 이름이 트레일블레이져로 변경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이러한 예상을 통해 지엠이 산업은행의 한국지엠의 지분을 완전 매입 후의 라인업을 예상해보도록 하지요. 우선 승용라인업은 현재의 라인업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세부 모델에서 스파크 엑티브/바이퓨얼/RS(1.0 터보 OR 1.4 터보)와 말리부 하이브리드/바이퓨얼/디젤, 크루즈 디젤/하이브리드 정도가 가능성 있겠습니다.

SUV에선 미국 쉐보레 라인업의 변경과 함께 신형 에퀴녹스가 현대 투싼의 포지션으로 변경됨에 따라 생산이나 수입이 예상됩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트래버스가 현대 맥스크루즈의 포지션으로 이동, 수입이 예상됩니다.
즉 트랙스ㅡ에퀴녹스ㅡ캡티바ㅡ트레버스 이거나, 트랙스ㅡ에퀴녹스(캡티바)ㅡ트레버스일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픽업트럭과 레져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프레임바디의 중형 SUV 트레일블레이져와 같은 플랫폼의 콜로라도의 도입도 예상됩니다.

콜로라도는 북미형과 아시아형이 있는데 일부 남미국가에선 저가형/기업/사업용을 아시아형을 수입하고 고급형의 높은트림은 북미형을 수입하고 있어 이쪽의 1안이고 (대신 차명이 다름 아시아형:S10 북미형은 콜로라도) 두번째는 옵션좋은 상위트림의 북미형만 수입하는 2안 입니다.

반면 트레일블레이져는 현재 미국 쉐보레 라인업에서 빠졌지만, 지엠이 미국내 상표권을 계속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차세대 북미 모델이 도입가능성이 현재 옵션이 딸리는 아시아전용 트레일블레이져 보다 높을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비교적 낙관적인 콜로라도와는 다르게 실버라도나 서버밴,타호는 휘발유엔진/극악의 연비, 지엠코리아의 같은 엔진에 옵션이 두 단계 높은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의 수입과 저조한 판매로 인해 도입가능성은 높지않습니다.

다음으로 주목할 점은 올란도인데 한국생산이 2017년으로 끝나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아무런 후속이나 생산계흭이 없다는 점입니다. 반면 유럽에선 같은 플랫폼의 오펠 자피라 투어러는 FL을 앞두고 있습니다.
아마 상하이 지엠에서 같은 플렛폼의 더 싼 미니밴인 스핀이 올란도의 주 시장이었던 동남아 일부 남미에 수출되고 있고 세계 시장에서 팀킬,SUV로 이동으로 인한 수요축소로 어쩌면 2000년대 초반 지엠이 미국시장에서 그러했듯 한국에서도 미니밴 라인업을 없애려는 것인수도 있겠습니다.

그래서 향후 한국 지엠의 전체적인 라인업은
승용: 스파크, 아베오, 크루즈, 말리부, 임팔라
SUV: 트랙스, 에퀴녹스, 캡티바, 트레버스,
트레일블레이져(차세대 북미)
픽업: 콜로라도(북미/아시아)
미니밴: 올란도(-2017?)

+오펠,캐딜락 라인업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한국지엠이 오펠이나 뷰익의 라인업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이유로는 오펠의 수출하는 스파크의 바이퓨얼 엔진의 국내도입이 느려지고 있다는점, 스파크에 쓸 수 있는 1.0 터보엔진이 존재하는데도 쓰이지 않고 유럽포드의 1.0 터보엔진 처럼 상위모델의 다운 사이징 라인업에도 도입되지 않는다는 점 (이미 오펠은 이 엔진을 아베오와 같은 플렛폼인 코로사에 쓰고 있음), 예전 세대의 말리부 디젤의 흥행에도 불구하고 계흭에 없다는 점, 또한 요즈음 르노삼성이 유럽에서 도입, 수입한 라인업인 SM6,QM3가 비교적 판매에 성공한 점, 중요한 것은 서두에도 말했 듯이 이러한 비슷한 이유로 한국 지엠과 비슷한 상황인 호주 홀덴이 오펠 모델을 호주에 도입한 점, 그리고 이러한 전략을 유지할 것이라는 점에서 한국지엠의 오펠/뷰익 라인업 도입이 유력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다음 글에선 오펠/뷰익이 들어온다면 어떤 라인업이 어떻게 들어올 건지 예상해볼려고 합니다.

또 다시 부족힌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글에서 되도록 빨리 찾아뵙겠습니다.

(*이 글은 극도로 글쓴이 주관적인 글입니다.)





오랫만에 한국 내수 자동차 시장이 뜨겁습니다.
지엠과 르노의 공격적인 신차 출시덕분인데요.

지엠은 FL2 캡티바를 시작으로 제임스킴 사장이 10대의 새로운 차를 출시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캡티바FL2와 완전 신형 말리부 카마로 SS가 공격적인 가격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작년 임팔라를 시작으로 공격적인 가격정책과 오히려 미국형 모델을 역차별하는 정책으로 시장의 좋은 반응을 이끌어 냈습니다.

물론 안정장비와 일부차량의 미국형과 다른 로워암 재질으로 질타를 받았지만, 최소한 안전과 직결된 장비를 저질을 쓰는 모메이커보다는 낳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잘돌고 잘지켜주고 잔터지니까요.

본론으로 들어가서,지엠내부의 사례를 보게된다면 호주 홀덴처럼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지엠이 외국회사를 60퍼센트 이상 매입한 사례는 대표적으로 사브,홀덴,오펠,이스즈등이 있습니다.

이중 한국GM은 나쁘게 된다면 사브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고, 나쁘지도 좋지도 않은 케이스는 홀덴 처럼, 좋게 된다면 오펠이나 이스즈 같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펠은 근래에 지엠내부의 중소형 각종 아키텍쳐 플랫폼 개발의 중심에 있습니다. 신형 말리부, 카마로의 플랫폼도 지엠유럽에서 나왔고, 이들 차종에서 사용되는 심지어 캐딜락에서도 사용되는 2.0 터보엔진도 오펠작품입니다. 이스즈는 지엠의 오버헤드캡 트럭의 개발과 생산과 대형 디젤인 듀라맥스엔진을 공동 개발했습니다.

반면 호주의 홀덴은 2000년대 초반 지엠이 휘청거린후로 홀덴이 담당하던 대형세단 플렛폼의 세계판매 실패, 호주 내수마저 소형,SUV으로 판매중심이동, 인건비 상승으로 디자인 마케팅팀을 빼고 올해 2016 공장패쇄 및 사업축소라는 전철을 밟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브랜드 이름만 남고 지엠모델의 수입사가 되어버린 꼴이 되었습니다.

제가 왜 한국지엠이 호주홀덴 처럼 될것이라고 확신하는 이유는
1.한국지엠의 R&D 인력축소
2.미국생산모델의 수입
3.산업은행의 한국지엠 지분의 제1협상권자가 지엠이라는 점
4.제임스킴 신임 사장이 구조조정의 전문가라는 점
5.지속적인 생산비용 상승
6.대안적인 생산기지는 세계에 널렸다는 점
7.모기업이 미국기업이라는 점

홀덴이 호주에서 사업을 축소하는이유는 위의 1,5,6,7 때문인데요. 홀덴도 90년대 부터 2000년 초반까지는 지엠의 큰 엔진생산,공급원이었습니다. 그러나 대형 풀사이즈 세단의 호주내에서의 경쟁력악화가 수익성의하락을 가져오고 중형플랫폼의 개발권은 오펠로 완전히 넘어가고 그리고 미국본사가 대형플렛폼개발권을 가져가고 결과적으로 R&D인원의 축소를 불러왔습니다.

한국지엠도 비슷하여 유럽철수가 한국지엠의 유횽성을 떨어트렸습니다. 중형은 미국형으로 통일하고 준중형 개발권은 오펠로 완전히 넘어갔으며 한국지엠이 개발한 소형차는 미국내에서 엑센트보다 안팔립니다.그로 인한 R&D 개발인원 축소되었습니다. 그나마 대들보인 스파크의 엔진도 상하이지엠과 오펠의 합작엔진으로 대체되었습니다.

더욱이 한국지엠이 주도로 개발했던 올란도와 캡티바의 풀체인지 시기가 다가옴에도 생산일정, 심지어 개발일정도 확실지 않습니다.

이럼에도 산업은행의 한국지엠지분을 지엠에 처분하기로 한 시기가 다가옴과 이 시기에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의 구조조정을 이끌었던 제임스킴을 한국지엠의 사장에 올려놓으므로서, 산업은행의 지분이 본사로 넘어가는 순간, 캐딜락의 수입원인 지엠코리아와 한국지엠의 합병과 축소가 단계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업계 3위 회사의 경우, 저는 이미 축소의 단계를 밟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과적으로 한국지엠의 사업의 축소의 결정은 향후 2-3년 안의 한국지엠의 개발차량의 흥행여부와 세계경제상황에 달려있습니다. 예로 들면 수해전 지엠이 오펠을 매각하려다가 그룹 내에 워낙 큰부분을 차지하기에 매각을 못하였죠.
회사상황이 안 좋으면 명성이 있건 없건 간에 회사 브랜드(예:폰티액, 사브등등) 닫거나 축소하는 차가운 기업이기 때문에 더욱 한국지엠의 앞날이 걱정되네요.

길고 지루한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한국지엠 개발품이 보란듯이 시장에서 성공하여, 이 글이 몇년뒤에 성지가 되지 않길 빌어봅니다.

다음글에선 한국지엠의 향후 예상라인업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글은 어디까지나 글쓴이 본인의 주관적인 추측글입니다.




전번에 미국에 유학차 있을 때, 미산 크루즈 (J300) 1.4T 2LT  를 운전해보았고, 

이번에 한국산 1.8 LTZ에 동승해봤습니다.


느낀점을 정리해보자면.

1.내장제

내장제 소재는 한국산이 잘나왔다.(확신)

미국산은 플라스틱의 터치감이 싸구려의 딱딱한 느낌이었는데, 

한국산은 도어핸들, 도어락 스위치을 조금 만져보았는데, 미국산보다 고급소제인듯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플라스틱을 썼더라고요. 

또한 미산은 실내내장제를 블랙으로 선택하게 되면 최상급 ltz라더라도

 패널이 직물인데, 한국제는 가죽이네요.


2.가속감

엔진에 따른 차이인가, 

(일전에 오토뷰에서 한국산 1.4T를 리뷰할때 너무 부드럽다고 했는데 엔진의 차이일수 도 있습니다. 오토뷰 시승기 좌표:https://www.youtube.com/watch?v=HEI_BaEEDxU&feature=youtu.be)

 세팅이 완전 반대 였습니다. 서스펜션은 한국산이 좀더 하드하게 세팅된 느낌 이었고,

미국산은 전형적인 현기차나 일전의 미국차의 소프트 세팅이었습니다.


엑셀의 깊이도 확실히 달랐습니다. 

미산은 조금만 밟아도 튀어나가는 느낌이 강해서 엑셀의 조작이 어려웠었는데, 

한국산은 가볍지는 않아보였습니다. 무엇보다 한국산이 가속감이 느긋했었습니다. 

과급차와 자연흡기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변속타이밍을 보자하니, 

변속기가 강하게 의심되더라고요. 참고로 둘다 2015년 이후 연식이었습니다. 

둘다 gm 하이드라메틱 gen2이었을 겁니다. 

한국산은 한 알피엠 구간에서 머무르는 느낌이 강했고, 

미산은 밟은대로 나가더라고요. 


이상 미산 국산 크루즈 탑승기었습니다.

+ Recent posts